진통제라고 하면 해열진통제와 소염진통제가 있다는 것은
다들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두 가지의 차이는 어떤 것이고,
어떻게 복용하는 것이 맞는 건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해열 진통제
해열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열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염증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대표적인 해열진통제로는 타이레놀(얀센), 펜잘(종근당), 게보린(삼진제약)이 있으며
해열진통제의 주요 성분은 주로 간에서 분해되어 간 기능을 떨어뜨려
약을 먹으면 금방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소염 진통제
소염진통제는 해열진통제가 가진 해열작용과 통증의 효과 외에도
'염증'을 없애는 소염작용까지 함께 합니다.
염증반응이라는 것은 쉽게 말하면 우리가 관절이나 근육조직을 다치면
피나 림프액이 다친 부위를 치유하기 위해 모여서 부어오르는데 이를 일컫습니다.
즉, 조직이 부어오르는 것을 말하며 부어오른 조직을 가라앉히는 것이 이 소염진통제입니다.
아스피린(바이엘), 애드빌(GSK컨슈머헬스케어), 이지엔 6(대웅제약),
부루펜(이부프로펜), 탁센(나프록센가)이 대표적이고
류머티스성관절염, 골관절염 등의 통증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해열진통제에 소염의 효과가 더해진 것이라서
두통이나 발열, 치통, 생리통, 관절통 등에도 좋습니다.
다만 소염진통제는 통증을 완화시키기에
위장 기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과다 복용을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소염진통제는 원인의 치료가 아니고 증상을 가라앉히는 것이기에
계속 치료해도 붓기등에 차도가 없다면 전문의의 상담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구분이 필요 없는 이유
이제껏 아무렇게나 진통제를 드셨다고요? 괜찮습니다.
사실 가정상비약으로 진통제를 구비할 때 크게 구분은 필요 없습니다.
그 이유는 주로 우리가 복용하는 용량 때문입니다.
하루에 우리가 3번씩 먹는 진통제의 경우 하루 1200mg이 보통인데
이 정도의 복용 양으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염제를 먹어야 하나 해열제를 먹어야 하나 용도에 따라
구분하려고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생리통(월경통)의 경우에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같은 소염진통제가 해열진통제보다 효과가 좋습니다.
생리통을 겪는 여성은 소염제를 복용하면 통증유발물질을
더 적게 만들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생리통 초기에 약을 복용하는 게 더 좋습니다.
★결론
오늘은 해열진통제와 소염진통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진통제가 필요하다면 고민하지 마시고 아무거나 먼저 복용하세요!
댓글